건설업등록/실태조사

  • 일반건설업
  • 전문건설업
  • 기타건설업
  • 실태조사

양도양수/분할합병

  • 절차 및 구비서류
  • 건설업양도물건
  • 일반법인양도물건

법인설립

  • 법인의개요
  • 주식회사
  • 유한회사
  • 합자회사
  • 합명회사
  • 사업자등록
  • 개인사업자의 법인전환

기업진단

  • 기업진단개요
  • 기업진단관련법규
  • 기업진단준비서류
  • 기업진단보수표
  • 기업진단과 재무제표구분
  • 기업진단지침 주요내용
  • 건설업관리규정

건설기술자격

  • 기술사
  • 기능장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 자격증취득안내
  • 건설기술자역량지수

연말결산/실적신고

  • 자본금 계정별 인정기준
  • 채권의개념 및 분류
  • 채권의 종류
  • 실적신고의 의의
  • 실적신고 제출서류

고객지원센터

  • 교육일정
  • 합격자명단
  • 시험장약도
  • 서식자료
  • 건설뉴스
  • 공지사항
  • 자주하는질문
  • 자유게시판
  • 고객 채팅방
  • 1:1온라인 상담
  • 유용한 사이트/관련사이트

건설자재 및 건설장비 공구

  • 건설자재 및 장비 둘러보기
  • 건설자재 등 물품등록 하러 가기

자격증 교육과정

  • 기사
  • 기능사
  • 산업기사

고객참여광장

  • 일반법인 양수신청
  • 일반법인 양도신청
  • 건설업등록 상담신청
  • 건설업양도 상담신청
  • 건설업양수 상담신청
  • 법인설립 상담신청
  • 기업진단상담신청
  • 기사(산업기사) 취득신청
  • 기능사 취득신청
  • 경력기술자 취득신청

회사소개

  • 인사말
  • 오시는 길

img

법인설립

법인의 개요

bg_img
법인의 개요
  • 법인의 개요
법인의 개요
법인의 개요
법인이란 자연인 이외에 법인격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법인의 실체가 사람인가 재산인가에 따라 사단법인과 재단법인으로 구별된다.     
그리고 법인의 목적에 따라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으로 목적, 준거법, 강제성, 공권력 등을 표준으로 하여 공법인과 사법인 및 중간법인으로 
한국에 주된 사무소가 있고 한국 법률에 의하여 설립되는 내국법인과 그렇지 않은 외국법인으로 분류된다. 건설회사는 사단법인, 영리법인, 사법인에 해당된다.

회사를 설립하는 데는 회사의 기본규칙인 정관의 작성, 회사의 구성원인 사원과 사업에 필요한 물적수단을 제공하는 출자의 확정, 
회사의 의사결정 및 행동을 결정하는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며, 다시 이들을 등기(설립등기)함으로써 법인격을 취득한다(민법 제33조, 상법 제172조 등). 
회사의 설립에는 준칙주의를 취하고 있으므로, 법률상의 요건만 구비하면 회사의 설립은 당연히 인정된다.      

그러나 특정의 사업, 예를 들면 은행업, 보험업 등을 영위하는 회사의 설립은 재정경제부장관 등의 허가가 필요하다. 
건설회사는 등록제이므로 요건만 구비하고 해당관청에 신고만 하면 된다.

상법은 사원의 책임의 형태에 따라 회사를 다음의 네 가지로 나누고 그 밖에 회사는 인정하지 아니한다(상법 170조).
주식회사 주식의 인수가액을 한도로 하는 유한의 간접책임을 부담하는(331조) 사원, 즉 주주만으로 성립하는 회사이다.
주주는 간접, 유한책임이라는 데 비추어, 주주총회의 결의에는 참가하나 업무집행에는 당연히 참여하지 못한다.
또 주식양도는 원칙으로 자유이고, 사원의 개성이 문제가 되지 아니하므로 사원의 수가 많고 대자본이 필요한 대기업에 적합하다.
유한회사 주식회사의 주주와 같이 출자액을 한도로 하는 간접의 유한책임을 부담하는(553조)사원만으로 성립하는 회사이다.
중소기업에 적합하도록 주식회사의 복잡한 조직을 간단하게 하여 합명회사와 같은 점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주식회사와 다르다.
따라서 이것은 중소기업의 경영에 적합한 회사이다.
합명회사 모든 사원이 무한책임사원으로서 회사채권자에 대하여 직접, 연대, 무한의 책임을 부담하고(212조),
원칙으로 회사의 업무를 집행할 권리와 의무를 가지며(200조), 그 지위를 타인에게 자유로이 이전할 수 없는(197조)회사이다.
따라서 사원의 회사에 대한 관계가 깊고, 인적 신뢰관계가 있는 소수인의 공동기업에 적합하다.
합자회사 합명회사와 같은 무한책임사원과 회사채권자에 대하여 출자액을 하도록 하는 유한책임을 부담하는 (279조)사원으로 성립되는
이원칙 조직의 회사이다(268조). 무한책임사원은 기업경영을 담당하나, 유한책임사원은 업무집행에 참여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회사채권자에 대하여는 모두 직접, 연대책임을 부담한다. 따라서 사원은 인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사원수가 적다.
법률상 회사는 위의 4가지이나, 사원인 개인과 회사기업과의 관계가 밀접한가 희박한가에 따라, 관계가 밀접한 합명회사와
합자회사를 인적회사라 한다. 관계가 희박한 주식회사와 유한회사를 물적 회사라 한다.